‘어웨이킹’을 들고 웃고 있 > 사전질의

kistep 수요포럼

사전질의

홈으로 사전질의 사전질의

사전질의

‘어웨이킹’을 들고 웃고 있

  • 등록일 25-03-10
  • 조회38회

본문

김세직 서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가 10일 관악캠퍼스 연구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기에 앞서 자신의 저서 ‘어웨이킹’을 들고 웃고 있다.


△둘 다 경기 부양책만 썼다고 볼.


책 표지 이미지 [중앙북스 제공.


거시경제학자인 저자가 약 20년간 서울대 학생들에게 강의한 경험을 토대로 창의적 잠재력을 일깨우는 방법을 제안한다.


책은 주입식·암기식 교육에.


Ending Credits’(엔딩 크레딧) 등 그만의 독보적인 감성을 담은 스테이지, ‘월식 (My Tragedy)’, ‘Melt Away’(멜트어웨이), ‘Time Lapse’(타임랩스), ‘Blur’(블러), ‘U R’(유 아) 등 파워풀한 가창력을 만끽할 수 있는 풍성한 무대까지 올 밴드 라이브로.


Ending Credits’(엔딩 크레딧) 등 그만의 독보적인 감성을 담은 스테이지, ‘월식 (My Tragedy)’, ‘Melt Away’(멜트어웨이), ‘Time Lapse’(타임랩스), ‘Blur’(블러), ‘U R’(유 아) 등 파워풀한 가창력을 만끽할 수 있는 풍성한 무대까지 올 밴드 라이브로.


평범한 사람도 누구나 훈련을 통해 키울 수 있다.


평범한 학생과 근로자도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있다.


졸저 『어웨이킹』에서 제시했듯 첫 번째 방법은 ‘비현실적 상상하기’다.


이 세상 모든 발명품은, 예컨대 스마트폰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.


기브어웨이'쪼꼬미 매병'은 현재 비스타 워커힐 서울 1층 '스페이스 워커힐'에서 전시를 진행 중인 서촌 공예 전문 갤러리 '일상여백'과 도예가 김보배의 협업 작품이다.


https://www.bilizzard.co.kr/


물레 작업을 거쳐 제작되었으며, 아담하면서도 단아한 아름다움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.


기여할 창조적인 창업 아이디어를 내라’ 같은 열린 문제를 낸다.


그동안의 경험과 사례 등을 모아 김 교수는 최근 단행본 <어웨이킹(Awaking)>을 냈다.


2021년 출간된 <모방과 창조>의 실전편에 해당하는 이 책에서 그는 ‘창의력 키우기 7단계’라는 구체적인 방법.


스틸어웨이)’ 등 130분간 21곡을 선사하며 공연을 마무리했다.


공연을 마친 박지윤은 “무대에서 노래할 수 있어 행복하다”, “이렇게 찾아와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꼭 전하고 싶다”, “‘힘들 때도 어둠을 보기보다 빛을 보려고 노력하면 그 빛이 내게 온다.


다양한 주제와 감정에 대해 쓴 감성적이고 단정한 문장들을 통해 작가의 깊은 속내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엿볼 수 있다.


△어웨이킹(김세직|236쪽|중앙북스) 최소 3개월의 연습 기간만 거치면 누구나 내면에 잠들어 있던 창의력 세포를 깨울 수 있다고 주장.


어웨이킹김세직 지음 중앙북스 저성장 기조 속에 투자가 일상화된 시대다.


거시경제학자인 저자는 인공지능(AI) 시대 반드시 투자해야 할 자산으로 ‘창의력’을 꼽는다.


AI가 일자리를 위협하는 시대에 인간만이 가진 창의성이 생존 수단이자 가장 최고의 자산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kistep 수요포럼

문의처

043-750-2366

E-mail. jihyun@kistep.re.kr